반응형

2025년 4월 중순, 만트라(MANTRA)의 네이티브 토큰 OM.
단 3시간 만에 90%이상 폭락하는 사태가 발생.
암호화폐 시장에 큰 충격, 투자자들 사이에서 '제2의 루나 사태'?

루나코인 폭락사태 / 출처: 나무위키


🗓️ 사건 일지: 만트라(OM) 토큰 폭락

📈 2025년 4월 초 – 급격한 상승

  • OM 토큰은 2025년 초 두바이 개발업체 DAMAC과의 10억 달러 규모 계약 체결 및 두바이 가상자산 규제청(VARAD)으로부터 최초의 디파이 라이선스를 획득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.
  • 이러한 호재로 인해 OM 토큰은 2024년 저점 대비 300배 이상 상승하여 2월 22일에는 약 9달러의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.​SwissBorg

📉 2025년 4월 13일 – 폭락 발생

  • 한국 시간으로 4월 13일 오전 1시 30분경, OM 토큰은 약 6.13달러에서 거래되다가 3시간 만에 0.43달러로 급락했습니다.
  • 이로 인해 시가총액 약 8조 원이 증발했으며, 일부 거래소에서는 거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.​야후 금융+13블록미디어+13SwissBorg+13

만트라코인 폭락 / 출처:MSN


🧩 폭락 원인 분석

1. 중앙화 거래소의 무리한 강제 청산

  • 만트라 측은 이번 폭락이 중앙화 거래소에서의 무리한 강제 청산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.
  • 유동성이 낮은 시간대에 대규모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면서 연쇄적인 가격 하락이 발생했다는 설명입니다 .​글로벌이코노믹+3블록미디어+399Bitcoins+399Bitcoins

2. 내부자 매도 의혹

3. 토큰 유통량의 집중

  • OM 토큰의 대부분이 락업 상태였으며, 실제 유통량은 제한적이었습니다.
  • 이로 인해 소수의 대규모 매도만으로도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취약한 구조였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.​웹3 블록체인 및 NFT 인증 교육

🔧 만트라의 대응 및 향후 계획

  • 만트라 측은 사후 보고서를 통해 이번 사태의 경위를 상세히 설명하고,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.
  • 구체적으로, 팀 할당 토큰 3억 개(전체 공급량의 약 17%)를 소각하고, 바이백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.​블록미디어+1이코노미블록+1이코노미블록

만트라코인 / 출처: 파이낸셜포스트


📊 시장 반응 및 전망

  • 폭락 이후, OM 토큰은 일시적으로 200% 이상 반등하여 0.99달러까지 회복했으나, 여전히 초기 투자자들의 손실은 큰 상태입니다 .
  •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루나 사태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다고 평가하며, 시스템적인 결함보다는 시장 구조와 관리의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.​블록미디어+1디지털투데이+1MT News+2디지털투데이+2글로벌이코노믹+2
반응형

+ Recent posts